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32

행운이 따르는 사람 행운이 따르는 사람 01. 절약과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있는 사람 02. 깨어 있는 정신[精神]으로 인생을 철저히 준비[準備]하는 사람 03. 필요[必要]하면 언제나 도움의 손길을 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04. 재치가 번뜩이고, 언제나 화목[和睦]하게 지내는 사람 05. 자기 능력에 대한 숭고[崇高]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 06. 우직[愚直]하고 부단하게 노력[努力]하는 사람 07. 기회[機會]가 오면 그 기회를 붙잡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08. 모든 이들에게 예의[禮儀]가 바르고 사려 깊은 사람 09. 아첨 [阿諂]이나 재산, 인기 때문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돕는 사람 10.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열심히 일하는 사람 11. 최선[最善]이 아니면 만족[滿足]하지 않는 사람 12. 항상 자기 향상[.. 2022. 6. 18.
인재 등용 [人才 登用] 인재 등용 [人才 登用] 논어 자로편 2장에 이르기를~ 중궁이 계씨의 가신이 되어 정치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하기를, "유사에 앞서 먼저 모범을 보이고, 작은 잘못은 용서하며, 현명[賢明]한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라고 말씀하셨다. ​공자의 제자 중궁이 계씨에게 등용[登用]되어 가신으로 일할 때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는 적재적소[適材適所]에 알맞은 인재를 배치하고, 작은 잘못은 용서하고, 뛰어난 인재를 계속해서 발굴[發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려 망국의 장소 개성 만월대에 인재 중용에 사심[私心]이 들어가면 사심[死心]이 될 수 있다. 흔히들 ‘인사[人事]가 만사’라고 한다.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인사로 흥한 자가 있지만, 인사로 망 한 자도 많다. 신라 통일의 주역인 태종무열왕 김춘추는 .. 2022. 6. 9.
여불위의 상술 ◆여불위의 상술◆ 이(利)를 쫓아 가는데는 중국 전국 시대의 여불위(呂不韋)를 따를 사람이 없을것이다. 여불위는 장사꾼 이었는데 상술이 뛰어났다. 진,초,연,제한,위,조,의 열국(列國)을 다니면서 장사를 잘하여 수 만금(數 萬金)을 지닌거부(巨富)가 되었다. 여불위가 초(超)나라 서울 한단에서 인질로 와있는 진(秦)나라 왕손인 자초(子楚)를 만나게 되었다. 그때 여불위는 자초(子楚)에게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 했다. 자초를 임금으로 만든다면 자신은 킹 메이커로서 임금위에 군림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면 천하를 내 손아기에 넣는 것이다. 얼마나 큰 이(利)를 보는 장사인가. 여불위는 자초를 임금으로 만드는 일에 나서 자초의 아버지 안국군(安國君)은 6년후 효문왕(孝文王)이 되었다. 여불위는 자식이 .. 2022.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