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AI 참사 부른 밀집사육

by 석암 조헌섭. 2017. 1. 9.
728x90
반응형
 

AI 참사 부른 밀집사육

4일 오전 세종시 전동면의 한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 닭 울음소리는 커녕 사람의 기척도 들리지 않았다.

‘AI(조류인플루엔자) 예방 방역실시·외부인 출입금지’란 플래카드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붙인 통제선만 있었다.


 지난해 11월 말 세종시에서 최초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닭이 감염된 농장이다. 병아리 30만 마리를 포함해 70만 마리의

 닭을 살처분했다. 이곳은 닭 한 마리당 사육 공간이

 A4 용지 한 장에도 못 미칠 정도로 빽빽한  공장형 축산 농가였다.

 이곳에서 AI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번졌다.

추천 기사
전남 화순군 춘양면에 위치한 산란계 농장 ‘쉴만한 농원’. 이 농원

이상근 대표는 2개 동에 총 1만2000마리의 닭을 기르고 있다

닭은 넓은 사육 공간에서 종종걸음을 하거나 날갯짓을 하며 지냈다.
 알은 연간 200~250개 정도 낳았다.

이곳에서10여㎞ 떨어진 나주시 남평읍에서 AI에 감염된 닭이

  발견됐지만 이 농장의 닭은 모두 건강했다.

이 대표는 “열악한 사육 환경으로 면역력이 떨어진 일반 양계 농가의 닭에 비해 친환경 농장의 닭은 외부 바이러스 등에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말했다.

 
지난 3일까지 AI로 살처분된 닭과 오리, 메추리는 3036만 마리에

  이른다.

 피해는 산란계(2245만 마리)에 집중됐다. 전국에서 사육 중이던

  산란계 가운데 32.9%가 살처분됐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친환경적 사육 환경으로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산란계다.

 89개 동물복지 인증 농장에서 기르는

 103만3000마리 산란계 가운데 살처분된 닭은 1개 농장

  1만3000마리(1.1%)에 불과하다.

32.9% 대 1.1%. 어떤 방식으로 키웠느냐에 따라 AI에 대한 저항력은 달랐다.

 기존의 살처분 방식과 방역체계로는 해마다 독해지는 AI를

차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 올해 AI 확산이 그 방증이다. 가축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공장식 밀집 사육과 원가 낮추기 경쟁을 반복하면

AI 대란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친환경 땐 닭값 급등…“비싼 국내산, 값싼 수입산 이원화를”
장형관 전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방역을 제대로 못한 게 1차

 원인이지만 대량 밀집 사육 환경 때문에 AI가 빠른 속도로 퍼졌다”며

 “친환경 사육을 한다고 AI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6일 AI 발생 이후 3일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살처분 보상금으로만 2300억원

(닭·계란·오리 등 가금류 합산)을 지급했다.

2003년 첫 AI 발생 이후 지금까지 닭 살처분 보상금 등으로 들어간

 돈은 총 8500억원이 넘는다. 여기에 매몰 비용, 방역 비용 등을

 더하면 최소 1조원 이상이 들어갔다.

국민 1인당 2만원 정도 부담한 셈이다.

사실상 매년 수백억~수천억원의 예산을 살처분 등에 투입하기보다는 친환경
 동물복지형 농장 지원에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종인 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단순히 동물학대 금지가

 아니라 국내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양계산업을 친환경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걸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문제는 가격이다. 친환경 사육으로 산업 체계를 바꾸면 닭과 달걀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다.

 최농훈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비싼 국내산과 값싼 수입산으로 가격을 자연스럽게 이원화해야 한다”며

 “점점 친환경 사육 비중을 높이는 장기 플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현숙 기자, 세종=이승호 기자 newear@joongang.co.kr

 

  •  

공장식으로 밀집 사육된 닭(위쪽)과 달리 친환경적으로 기른 닭은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강했다.[포항=프리랜서 공정식]


A4용지보다 좁은 ‘닭 감방’ 다닥다닥…AI 순식간에 전염

공장식으로 밀집 사육된 닭(위쪽)과 달리 친환경적으로 기른 닭은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강했다.[포항=프리랜서 공정식]


4일 세종시 전동면의 산란계(알을 낳는 닭) 농장은 폐허와 다를 바 없는

 모습이었다.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돼 닭과 병아리 70만 마리를 살처분했지만

 농장주와 종업원은 AI를 옮길까 봐 밖으로 나오지도 못했다.

 이 농장처럼 AI 감염으로 닭·오리를 살처분한 농가는 3일 기준

 총 308곳이다. 농가 대부분은 공장 같은 사육장에서 닭을 밀집사육했다.

하지만 밀집형이 아닌 ‘친환경 사육’ 방식을 도입한 축산농가의 닭·오리는 이번 AI의 공세에도 큰 피해를 보지 않고 있다.

 2012년부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도입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농가가 대표적이다. 이들 농가 중 AI에 감염된 경우는 지난해 12월 충북

 음성의 농가 1곳뿐이다.

AI 피해를 입지 않은 충남의 한 농가에서 닭들이 방사장을 뛰어다니고 있는 모습. [프리랜서 김성태]

AI 피해를 입지 않은 충남의 한 농가에서 닭들이 방사장을 뛰어다니고 있는 모습.

[프리랜서 김성태]


동물복지 인증제도는 공장식 밀집형 사육에서 벗어나 가축의 본성을 고려해 기르기 위해 정부가 도입했다. 일정 기준을 통과한 농가에 농림축산검역

본부가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농가가 상품에 마크를 붙여 판매할 수 있다.

 2012년 산란계 농장을 시작으로 2013년 돼지, 올해 오리까지 확대됐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보통 일반 양계장의 닭 한 마리당 사육면적은

 A4 용지(0.06㎡)보다 작은 0.04㎡(20X20㎝) 정도다. 1㎡당 25마리를

 사육하는 셈이다.

동물복지 농장(친환경 농장)의 마리당 사육면적은 0.11㎡ 수준이다.

 1㎡당 9마리 정도 지낸다. 이혜원 건국대 3R동물복지연구소 부소장은

“비좁은 공간에서 움직이지 못하는 닭은 스트레스로 자신이나 주변 닭을

 쪼아  피를 내는 ‘카니발리즘’이란 이상현상을 보인다”며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돼 면역력이 약해지고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친환경 농장에서 사육한 닭은 다르다. 이상근 쉴만한농원 대표는

 “넓은 공간에서 키우니 닭들이 습성대로 돌아다녀 운동량이 많다”고

 말했다.

 일반 양계장에선 알을 많이 낳도록 하기 위해 밤에도 전등을 켠다.


 이 대표는 “밤에는 6시간 정도 불을 끈다”고 말했다. 닭이 휴식을 취하게

 하기 위해서다. 이런 닭은 건강한 알을 낳는다. 닭이 앉아 쉴 수 있는 홰도 설치돼 있다.

 전북 정읍에서 육계를 키우는 박희강 세연농장 대표는

 “홰의 높이도 닭의성장 속도에 따라 25~35㎝로 조절하고, 닭의 쪼는

 습관을 위해 볏집으로 만든 블록도 넣어주고 상추 등 채소도 먹잇감으로

 준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닭은 연간 200~250개 정도 알을 낳는다. 다만 일반 닭은 하루에 100~110g 정도의 모이를 먹는데 친환경 사육 닭은 130~140g을 먹는다.

 달걀 가격이 한 판(30개)당 1만3000~1만4000원으로 밀집사육으로 생산한

 달걀(한 판당 5000원)보다 비싼 이유다. 그럼에도 매출과 수익성이

 나쁘지 않다.

이상근 대표는 “1만2000마리 정도의 닭을 길러 연간 8억원 정도

 매출과 4억원 정도 수익을 올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도입된 지 5년이 지났지만 아직 동물복지농장의 수는 많지 않다.

 일단 국내 닭 사육 농가가 영세해 친환경 사육을 위한 초기 대규모 투자가 어렵기 때문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현재 친환경 산란계 농가는

 89곳에 불과하다.

 이혜원 부소장은 “농가가 친환경 사육에 투자하도록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인센티브나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I 참사부른 밀집사육 지난 3일까지 AI로 살처분된 닭 오리,3036만 마리~
친환경적 사육 환경으로 89개 동물복지 인증 농장에서 기르는

 103만3000마리 산란계 가운데 살처분된 닭은 1개 농장 1만3000마리(1.1%)에 불과하다.


A4용지보다 좁은 ‘닭 감방’ 다닥다닥 비좁은 공간서 지내 스트레스받아

  면역력이 떨어져…AI 순식간에 전염 지난해 11월 16일 AI 발생 이후

 3일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살처분 보상금으로만 2300억원 2003년

 첫 AI 발생 이후살처분 비용 등 1조 원


EU는 2012년 ‘밀집사육’ 금지법으로 13년간 AI 발생 영국 3건, 스웨덴 1건뿐,

그 돈 1조원을 친환경 사육 지원했다면…

아니 지금부터라도 EU처럼 ‘밀집사육’ 금지법을 만들어야지

 세계 어떤 나라가 해마다 AI 참사를 부른 나라가 어디 있는가?

 정부는 무얼하는지…
스트레스받아 면역력 떨어진 닭과 계란을 먹으면

사람인들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을까?
가격이 좀 비싸더라도 면역력이 강한 친환경 농장 닭이 좋을 듯 싶다.


발췌=2017년 1월 5일 중앙일보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이경[愛而敬]  (0) 2017.01.20
베블린 효과와 밴드웨건 효과  (0) 2017.01.13
똥개계약[黃犬契約]  (0) 2017.01.07
올 해의 사자성어 “군주민수(君舟民水)  (0) 2016.12.29
오유선생[烏有先生]  (0) 2016.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