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오유선생[烏有先生]

by 석암 조헌섭. 2016. 12. 23.
728x90
반응형

바람까마귀
유선생[烏有先生]
세상을 살다 보면 여럿 희귀한 일들을 보고 만날 수 있다.
상식[常識]이 통하지 않는 몰상식한 일들이 참으로 많다.
그럴 때 우리는 오유선생[烏有先生거짓으로 꾸민 가상 인물 ]을
만났다고 한다.

오유선생[烏有先生]은 “상식적으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을
 뜻한다.
까마귀 오[烏]는 본디 새조[鳥]에서 따온 글자다.
까마귀는 털이 온통 검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새는 새인데 눈이 없는 새라 하여 새 조[鳥]에서
눈을 나타내는 점을 빼버린 까마귀 오[烏]자를 만들어 냈다.

그래서
오비이락[烏飛梨落]--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오합지졸[烏合之卒]--까마귀 노는 모양은 리더가 없고 모두
                       제멋대로이다.
장경오훼[長頸烏喙]--목이 길고 입이 뾰족한 사람으로 변절자를
                       나타내는 말
오조사정[烏鳥私情]--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정
또한 오골계[烏骨鷄]--검은 닭이라 해서 검다. 를 나타내며
                        또는 왜 어찌의 의문[疑問]의 뜻도 있다.
그래서 오유라고 했을 때 “어찌 잊을 수 있으랴”로 해석[解釋]하며
고로  오유선생[烏有先生]은 상식적으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을
 말한다.

어쨌거나 까마귀와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깊은 관계[關係]가 있으니
고구려의 거문고도 왕산악[王山嶽]이 중국 진나라의 칠현금을 연주하니
까마귀가 춤을 추었다 해서 “검은고”에서 거문고가 되었다 한다.

태양속의 금 까마귀와 달 속의 옥도끼 금오옥토[金烏玉兎]이야기와
까마귀가 나는 곳은 성스러운 땅이고 우리 역사 속에서는 신조(神鳥)로
여겨고구려 벽화의 삼족오[三足烏]왕권에서

반포지효[反哺之孝]의
 효경생활[孝經生活] 에 이르기까지 까마귀
이야기의 주인공임을
부인할 수 없다.
우화에서는 기러기에게는 장유(長幼)의 서(序)가 있고, 까마귀에게는
 반포(反哺)의 효[孝]가 있다고 하였다.

이렇듯 까마귀에 관한 한 떨어질 수없는 일은 분명[分明]한데
세상사 살다 보니 별일도 많다.
청문회[聽聞會] 때 얼마전 한 일도 모르쇠로 딱 잡아 때는 까마귀
 고기를 먹은  오유선생[烏有先生]을 여럿 만나는 일상이라…

가마귀에 관한 시[詩]가 뜻이 많지!

◆정몽주 어머니 詩라고 하나, 연산군 때 김정구라는 설이 있는 듯, 

가마귀 싸우는 곳에 백로(白鷺)야 가지 마라.
성난 가마귀 흰빛을 시샘하나니,
창파(滄波)에 곱게 씻은 몸 더럽힐까 하노라.


◆이직님의 오로시(烏鷺詩)

가마귀 검다 하고 백로(白鷺)야 웃지 마라 .
것치으 거믄들 속조차 거믈소냐 ,
아마도 것희고 속검을손 너뿐인가 하노라.


◆작가 미상

가마귀 너를 보니 애닯고도 애닯아라.
너 무삼 약을 먹고 머리조자 검엇느냐
우리는 백발 검을 약을 못어들가 하노라.


◆병와 가곡집 작가 미상
가마귀 검거나 말거나 해오라기 희거나 말거나
황새 다리 길거나 말거나 오리 다리 짧거나 말거나
세상 옳고 그른 시비는 나는 몰라 하노라.

가마귀 눈비 맞아) - 박팽년[朴彭年]가마귀 눈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夜光明月]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임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세상의 시비[是非]에 휘말리고 싶지 않은 마음을 표현한 시[詩]속에
 뜻깊은 의미[意味]가 담겨있는 듯,

2016년 12월 일 석암 조 헌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