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 산악회 제269차 18년 9월 결산보고 장기읍성(포항)안압지(경주) | ||||||
성 명 | 회 비 | 찬조,물품 | 비 고 | 적 요 | 지 출 | |
고병식 | 30,000 | |||||
권용식 | 40,000 | 매실액기스 | 차비 | 700,000 | ||
김광숙 | 30,000 | 국수 | 70,000 | |||
김병원 | 40,000 | 닭 족발 | 20,000 | |||
김상혁 | 70,000 | 박동석회장축화환 | 70,000 | |||
김순자 | 40,000 | 얼음 | 3,600 | |||
김연권 | 30,000 | 튀김 | 소주, 탁주 | 74,000 | ||
김임곤 | 30,000 | 비닐봉지 | 8,000 | |||
김종문 | 30,000 | 안압지,포석정입장료 | 15,000 | |||
김판희 | 30,000 | |||||
나성근 | 40,000 | 돼지불고기 | 지출합계 | 960,600 | ||
박노달 | 30,000 | |||||
박동석 | 90,000 | 회, 매운탕,밥 | ||||
배석훈 | 30,000 | |||||
서동술 | 40,000 | |||||
설만자 | 30,000 | |||||
송일성 | 불참9 | |||||
윤태준 | 30,000 | |||||
윤흥달 | 30,000 | |||||
이명권 | 40,000 | 오이, 건빵 | ||||
이무환 | 40,000 | 떡 | ||||
전병용 | 30,000 | |||||
조헌섭 | ||||||
진한숙 | 30,000 | |||||
최헌집 | 30,000 | |||||
남재용 | 35,000 | 자두 3통 | 찬조50,000 | |||
강경덕 | 25,000 | |||||
회비 총계 | 920,000 | 찬조 50,000 | 계970,000 | 지출합계 | 960,600 | |
7월 이월금 | 11,078,925 | |||||
9월 수입금 | 9,400 | |||||
현재 잔액 | 11,088,325 | |||||
. |
261차 수입 지출 현황 (간절곶 18년 1월 7일 참석 인원 32명) | ||||||
NO | 성 명 | 회 비 | 시산제 비 | 찬조,물품 | 적 요 | 지 출 |
1 | 고병식 | 30,000 | 50,000 | 차비 | 700,000 | |
2 | 권용식 | 40,000 | 200,000 | 개근 k2양말 14 | 172,900 | |
3 | 김광숙 | 30,000 | 30,000 | 불참 | 파워마트 종이컵 | 8,900 |
4 | 김병원 | 30,000 | 100,000 | 커피 | 19,500 | |
5 | 김상혁 | 40,000 | 50,000 | 화장지 | 19,800 | |
6 | 김순자 | 65,000 | 30,000 | k마트 봉투 | 1,000 | |
7 | 김연권 | 30,000 | 30,000 | 시산제 떡 | 소주 1 box | 27,000 |
8 | 김임곤 | 30,000 | 30,000 | 탁주1 box | 20,000 | |
9 | 김종문 | 30,000 | 50,000 | 사과 3 | 10,500 | |
10 | 김판희 | 30,000 | 50,000 | 배 3 | 18,000 | |
11 | 나성근 | 40,000 | 50,000 | 단감1줄 | 5,000 | |
12 | 박노달 | 불참 | 귤1 box | 28,000 | ||
13 | 박동석 | 30,000 | 50,000 | 바나나 | 5,900 | |
14 | 배석훈 | 40,000 | 50,000 | 대추,밤 ,명태 | 34,000 | |
15 | 서동술 | 40,000 | 50,000 | |||
16 | 설만자 | 30,000 | 50,000 | 돼지머리, 편육 | 70,000 | |
17 | 송일성 | 105000불4 | ||||
18 | 윤태준 | 30,000 | 불참 | 촌지금 | ||
19 | 윤흥달 | 불참 | 회장,부회장, 총무 | 300,000 | ||
20 | 이명권 | 30,000 | 100,000 | |||
21 | 이무환 | 65,000 | 100,000 | 회, 방어, 생선회 | 475,000 | |
22 | 전병용 | 30,000 | 50,000 | 식대 술 상차림 | 320,000 | |
23 | 조헌섭 | 100,000 | ||||
24 | 진한숙 | 불참 | ||||
25 | 최헌집 | 40,000 | 50,000 | |||
일반 회원 | 회 비 | 찬조,물품 | ||||
강경덕 | 25,000 | 30,000 | ||||
이생복 | 35,000 | 30,000 | ||||
진효석 | 25,000 | 무 | ||||
김병동 | 50,000 | |||||
안상락 | 50,000 | |||||
합계 | 815,000 | 1,430,000 | ||||
2년 | 정기예금이자 | 372,776 | ||||
수입합계 | 2,617,776 | 지출합계 | 2,235,500 | |||
17년 이월금 | 11,557,019 | |||||
1월 수입금 | 382,276 | |||||
1월 잔액 | 11,939,295 | |||||
.. |
☎ 회장 권용식 010-3503-6050 총무 010-9533-1065 산대장 010-3501-6083
본 산악회는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이 없으므로 안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길 바랍니다. 유달산 주차장 노적봉~이순신장군 동상~유선각~고래바위~종바위~마당바위~일등바위(정상) ~흔들바위~얼굴바위~소요정~이등바위~조각공원 주차장 소요시간 : 약 3 km, 1,30분 유달산(儒達山)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 목원동, 죽교동에 있는 높이 228미터의 산이다. 목포 8경의 하나로 목포의 자랑이자 상징과도 같고, 목포의 영산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에서 다도해와 목포 시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작은 산임에도 산의 기세가 병풍의 수폭처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병풍처럼 보인다 해서 예로부터 호남의 "개골산"(금강산의 여름 별칭)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일등바위(유달산 정상), 이등바위, 삼등바위와 달성사 등이 있다. 왕자귀나무 자생지이기도 하다. 가수 이난영이 부른 〈목포의 눈물〉 기념비와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 서 있다. 대한민국 최초의 조각공원인 목포조각공원이 유달산 어귀에서 생겼으며 조각작품 100점이 전시되어 있다. 밤에는 유달산 정상부터 각 봉우리에 조명이 켜져 경관을 더한다. 비가 오지 않는다면 그 광경을 직접 볼 수 있다. 다만 환경 오염의 소지가 커 광주전남 환경운동연합은 유달산의 야간 조명을 10대 환경 뉴스로 꼽기도 했다. 유달산은 4월에는 유달산 꽃축제(구. 유달산 개나리축제)가 열려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유달산의 볼거리는 정상에 올랐을 때 보이는 다도해 절경에 있다. 유달산은 228m로 그 높이가 낮지만 목포시 한가운데서 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낙조대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
☎ 회장 권용식 010-3503-6050 총무 010-9533-1065 산대장 010-3501-6083
본 산악회는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이 없으므로 안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길 바랍니다.
코스=다랭이마을-미국마을-독일마을-편백자연휴양림
▶남해 가천 다랭이 마을 다랭이는 협소한 농지를 뜻하는 순 우리말로, 이 마을 사람들은 ‘삿갓배미’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랭이마을은 이름부터 마을의 독특한 유래까지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곳이다. 하루는 어떤 농부가 종일 논을 갈다 해가 저물어 집으로 돌아가기 전 자기의 논을 세어보니 한 배미가 없어졌더랬다. 몇 번을 세어 보았지만 찾을 수 없어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벗어둔 삿갓을 들었더니 삿갓 아래 한 배미가 있었다는 다랭이논의 일화는 자세히 보지 않으면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땅의 우스갯 표현을 우회적으로 나타낸다. | ▶남해 독일 마을 1960년대 경제적으로 힘들고 가난했던 시기에 독일로 파견되어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혁신적으로 도움을 주었던 파독광부 간호사들의 은퇴 후 귀국하여 정착한 마을로 2000년부터 6년간에 걸쳐 김두관 남해 군수님께서 행정자치부, 문화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남해군이 조성한 독일 교포 정착촌이다. 현재 39가구가 완공되어 20여 가구는 민박을 운영하며 노후를 보내고 있다. 남해군청이 전깃줄을 지하로 매설하여 바다 전경을 살려줬고 마을을 철저하게 독일식으로 꾸미고 난개발을 억제하여 '한국 속의 작은 독일'로 특화된 마을이다. ▶시간이 되면 미국마을과 남해 편백나무 자연 휴양림을 경유해 다녀올 예정이다. | |
내용을 입력하세요 | 내용을 입력하세요 |
.. |
☎ 회장 권용식 010-3503-6050 총무 010-9533-1065 산대장 010-3501-6083
본 산악회는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이 없으므로 안전에 만전을 기해 주시길 바랍니다. 등산코스: ▶간현유원지주차장 - 등산로안내판 - 보리고개밭두렁 - 구멍바위 - 바위오름터 - 갈림길-정상 - 쉼터 - 철계단구간 - 야영장 - 소금산교 - 간현유원지 주차장(2.7km, 2시간 30분) ▶간현유원지주차장 - 소금산교 - 야영장 - 철계단구간 - 쉼터 - 정상 - 갈림길 - 바위오름터 -구멍바위 - 보리고개밭두렁 - 등산로안내판 - 간현유원지주차장-2,5시간 ◆소금산은 경치가 좋아 작은 금강산이라 하여 소금산이라 붙여졌다고 한다. 소금산 등산로는 간현관광지내 삼산천 계곡의 수려한 경관을 따라 정상부의 쉼터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등산로가 끝나 내려오면서 소금산교를 건너 기암 절벽으로 둘러 쌓인 개미둥지골에 들어서면암벽등반장소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간현암이 나온다.
협회에서 개발하여현재 5곳 50개의 코스가 개발되어 있다. 산을 좋아하고 암벽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코스이다. |
,,
'산행일지 > 산행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여행 (0) | 2018.03.05 |
---|---|
유달산 둘레길 (0) | 2018.02.04 |
간절곶(시산제)-태화강 대나무숲길(울산) (0) | 2018.01.08 |
대덕산악회 2018년 임원 선출 회칙 개정 (0) | 2017.12.13 |
용봉산(381m 충남 홍성) (0) | 2017.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