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일지/산행일지

수원 화성

by 석암 조헌섭. 2016. 4. 4.
728x90

.

 

수원 화성

대덕산악회 제239차 산행

2016년 4월 3일 참석인원=38명

화성

동영상보기사이버탐방

 

화성이미지

화성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선왕인 영조의 둘째왕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의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의 팔달산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시에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다. 화성 축성과 함께 부속

시설물로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 등 많은 시설물로

 건립하였으나 전란으로 소멸되고 현재 화성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손실되었으나 1975~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 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의 둘레는 5,744m, 면적은 130ha로 동쪽지형은 평지를 이루고 서쪽은

 팔달산에 걸쳐 있는 평산성의 형태로 성의 시설물은 문루 4, 수문

 2, 공심돈 3, 장대 2, 노대 2, 포(鋪)루 5, 포(咆)루 5, 각루 4, 암문

 5, 봉돈 1, 적대 4, 치성 9, 은구 2등 총 48개의 시설물로 일곽을

 이루고 있으나 이 중 수해와 전란으로 7개 시설물(수문 1, 공심돈 1,

 암문 1, 적대 2, 은구 2)이 소멸되고 4개 시설물이 현존하고 있다.

 

화성은 축성시의 성곽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북수문(화홍문)을 통해 흐르던 수원천이 현재에도 그대로 흐르고 있고,

 팔달문과 장안문, 화성행궁과 창룡문을 잇는 가로망이 현재에도 도시

 내부 가로망 구성의 주요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등 200년전 성의 골격이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축성의 동기가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경제적

 측면과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성곽자체가 "효"사상이라는 동양의

 철학을 담고 있어 문화적 가치외에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가지는

 성으로 이와 관련된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있다.

 

성곽의 전돌, 건조물의 기와 등이 독특한 방법으로 제작되어 있어 현재의

 기술로 이를 재현하기 어려워 보수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화성이미지1

화성은 중국, 일본 등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성벽은 외측만 쌓아올리고 내측은 자연지세를 이용해 흙을 돋우어

 메우는 외축내탁의 축성술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성곽을 만들었으며,

 또한 화성은 철학적 논쟁 대신에 백성의 현실생활속에서 학문의

 실천과제를 찾으려고 노력한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벽돌과 돌의 교축,

 현안·누조의 고안, 거중기의 발명, 목재와 벽돌의 조화를 이룬 축성방법

 등은 동양성곽 축성술의 결정체로서 희대의 수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당대학자들이 충분한 연구와 치밀한 계획에 의해 동서양 축성술을

 집약하여 축성하였기 때문에 그 건축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축성 후 1801년에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축성계획, 제도, 법식뿐

 아니라 동원된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기계, 재료가공법, 공사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성곽축성 등

 건축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록으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호), 화서문(보물 제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다.

 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자료발췌=문화제청

 

 

 

 

 

장안문

  

수원 화성 서노대

 

 

 

이노대

서장대 앞에 있는 이정표

 

       수원화성 서장대 

 

 

     효원의 종.

 

 

 

 

 

 

 

       화성행궁 대장금 찰영지

 

 

 

 

    

 

       홍살문

 

 

 

 

2016 수원화성방문의 해 홍보영상

 

 

 

 

'산행일지 > 산행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漢拏山 1,950m)  (0) 2016.05.04
백두산(장백산)(2750)  (0) 2016.04.19
토함산[吐含山 745m 경주]  (0) 2016.01.05
대덕산악회 제20차 총회 2015년 12월 6일  (0) 2015.12.06
지리산 피아골 단풍 놀이   (0) 2015.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