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이야기(124)

정약용(丁若鏞) 산문집(散文集)

by 석암 조헌섭. 2013. 1. 15.

        수정 2021년 7월 일 

 

 
정약용(丁若鏞) 산문집(散文集)

 
                       정약용 영정사진                          정약용 동상























정약용(丁若鏞) 1762-1836년.

조선 후기의 학자 호는 다산(茶山) 광주(廣州) 출신 정조 즉위년에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가환(李家煥) 을 통해 성호(星湖)이익(李瀷)의 유고를 보고 감명을

 받아 사숙하였고 정조 7년에 경의 진사가 되어 정조 임금을 만나 중용(中庸)을
 강의 이듬해 이벽을 통해 서학(西學)에 접하여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동 왕 14년에 남인 공서파의 탄핵으로 해미에 유배되었다가 10년 만에 풀려나와 
경기도 암행어사 동부 승지를 거쳐 병조 참외에 이르렀으나
주문도 사건 때문에
둘째 형 약전(若銓)과 함께 연루 좌천 당했다.


정조 21년에승지에 올랐으나 천주교 신앙 협의로 자명소(自明疏)를 올려 사의를
 표명하였으나 반려되었고 다시 입경하였으나 계속 반대파의 모함을 받아 사직하고
 정조가 죽은 후에는 장기 강진 등지에 유배 이후 8년간 학문에 몰두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제, 유포,
대동,수경 ,주역, 심전, 역학, 예언, 대학 ,회의등
 508편에 달한다.

그는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상에 바탕을 둔 실학(實學)의 거장이었지만 그의
관심이 현실에만 머물렀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의 가치는 4서(書) 6경(經)으로 대표되는 방대한 동양 고전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을 개혁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냈다는 데
 있다.

즉, 다산은 고전을 연구하는 경학과, 현실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경세학을 
하나로 꿴 사상가였다.
 
『목민심서(牧民心書)』 1818년, 단국대 소장
다산의 대표작이다.『흠흠신서』 『경세유표』와 함께 다산의 3대 경세서로
 꼽힌다. 

 
이 책에서 다산은 당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하면서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을 조목별로 정리했다. 부패가 극에 달했던 조선 후기 지방 정치의 현황을
 민생 및 수령의 본무(本務)와 연관시켜 소상하게 밝히면서 관리들에게 엄정한
도덕성의 회복을 요구한다.

다산 정약용이 아들에게 당부하기를, 독서(讀書)야 말로 인간의 으뜸가는 깨끗한
 일이다.

또한, 외진 시골의 수재들도 그 오묘한 이치를 알 수가 없고 호사스런
부호 가의 자제들은 그 맛을 알 수가 없다오직 벼슬아치 자제로 어려서부터 보고 듣고 중년에 재난(災難)을 만나 너희들 처지와 같은 자라야 비로소 독서 할 수가 있다.
 
너희가 끝내 배우지 않고 스스로 포기해 버린다면 나의 저술과 간추려 뽑아놓은 것들을 장차 누가 모아서 책으로 역고 바로잡아 보존하겠느냐?,너희들이 그렇게 할 수가 없다면 내 글이 끝내 전해 질 수가 없겠구나내글이 전해지지 못한다면 후세 사람들이 다만 사헌부의 탄핵 문과 재판(裁判) 기록 만을 가지고 나를 평가할 것이다. 그러면 내가 장차 어떤 사람이 되겠느냐?,
 
너희는 아무쪼록 이점을 생각해서 분발하여 학문(學文)에 힘스라 나의 한가닥 문맥(文脈)이 너희들에 이르러 더욱더 커지고 왕성(旺盛)하게 하여라대학(大學)의 성의장(誠意章)과 중용(中庸)의 성신장(誠身章)을 써서벽에 걸어 놓아라큰 용기(勇氣)를 분발하고 다리를 튼튼히 세워 물살이 센 여울로 배를 타고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으로 성의 공부(誠意 工夫)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성의 공부는 가장 먼저 황당한 말 한마디를 세상의 큰 죄악으로 생각하고 황당한
 말을 하지않는 것부터 힘쓰야 할 것이다.

만일 암을 다시 고쳐 짓는다기에

열흘만 살다가 버리는 집이 누에 고치 집이고

여섯 달만 살고 버리는 집이 재비 집이며,

한해만 살다가 버리는 집이 까치 집이다.

그런데,
그 집을 지을 때는 누애는 창자에서 실을 뽑아내고 재비는 침을 뱉어 진흙을 만들며
까치는 열심히 풀과 볏짚을 물어 오느라고 입이 헐고 꼬리가 빠져도 지칠 줄 모른다.
이러한 모습을 보는 사람들 가운데 그들의 지혜(智慧)를 낮게 생각하고 그들의 삶을
 안타깝게 여기지 않을 자가 없다

그러나 붉은 정자와 푸른 누각도 잠깐 사이에 먼지가 되어 버리는것이니
우리 인간들의 집 짓는 것도 이런 미물들과 다를 바가 없을것이다.

우리가 백 년을 살다가 그 집을 버린다 하더라도 그렇게까지 할 것은 없는데 하물며
 목숨의 길고 짧음이 정해져 있지 않음에야 우리가 집에서 처자식을 잘살게 하고
 후손에게까지 전해 준다 하더라도 그렇게까지 할 것이 없는데,
하물며 스님의 처지에 집을 고친다는 것은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두운 스님이 그 집을 새롭게 손질하고 크게 준공되자 다산에 있는 내 집으로 찾아와
 이렇게 말하였다.
이 고장에 있는 절만 하더라도 바둑판에 바둑알을 벌여 놓은 것만 같아서 가는
 곳마다 내 집 아닌곳이 없습니다.
게다가 내 머리까지 다 빠져 늙은이가 되었는데 아무리 내가 어리석다하더라도
 어찌 이런 일을 하겠습니까?.

다만, 이 집을 잘 손질해서 후세 사림들에게 남겨주려고 하는 것입니다.
내가 그의 말을 착하게 여겨 이 글을 지었다
그 집 이름을 물어보니 두륜산(頭輪산) 만일암(挽日庵) 이라고 하였다.

노자(老子)가 말하기를 겨울에 시냇물을 건너는 것처럼 신중하게 하고 사방에 나를
 엿보는 것을 두려워하듯 경계하라.

지나간 것을 쫓을 수 없고 다가올 일은 기약할 수 없으니 천하에서 자기가 지금
 부여받은 처지(處地) 처럼 즐거운 것은 없습니다.
맹자(孟子)는 몸을 지키는 것이 제일 크다고 하였다.

우후(虞候)는 중협과 해어지면서 쓴 시(詩),

즐거움은 괴로움에서 나오니
괴로움은 즐거움의 뿌리다.

괴로움은 즐거움에서 나오니
즐거움의 씨앗이다. 

괴로움과 즐거움의 서로 낳는 이치는 동(動),정(靜), 음(陰)과 양(陽)이 서로 뿌리가
 되는 것이다.
사리를 통달(通達)한 사람은 그러한 이치를 알아서 살피고 승제(乘除)의 운수를
헤아린다.

어떤 상황에 대응하면서 자기의 마음아 언제나 다른 사람의 마음과 서로
 반대(反對)가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가 그 취향을 나누고 기세를 줄이게 된다.
 
흔하면 비싸게 사들이고 귀하면 싸게 팔아서 물가를 항상 고르게 하는
겅수창의 상평법(常平法) 처럼 한다.
이게 바로 괴로움과 즐거움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다산의 산문(散文)을 보는 사람마다 관심이 다르고 평가가 다르겠지만
나는 그가 지은 수백 권의 글 가운데서도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제일 사랑한다.
천주교(天主敎) 인으로 몰려서 온 집안이 결딴난 뒤에도 앞길이 끊어진 자식들에게
 글을 읽어야만 사람이 되고 아버지의 억 욱함을 풀어줄 수 있다고 설득하는
 편지들은 지금 읽어도 눈물겹다.
 
과거볼 기회조차 빼앗긴 자식들이 무슨 희망으로 글공부를 하고 싶겠는가?.
이러한 편지는 자식들에 대한 설득이다 못해 눈물겨운 호소 이기도 하다.
그는 편지를 쓰면서 자식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도 달랬을 것이다.
그러한 집념이였기에 그는 유배지에서 수백 권의 책을 지어 우리 문화사를 빛낼
 수가 있었다.

그러나 다산의 글 가운데 어찌 이러한 편지들 만이 그의 대표작이랴
다만 나는 그의 글에서 인간미를 찾아내기 시작한 발단이었을 뿐이다.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 1814년, 단국대 소장
『중용강의보』는 젊은 다산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작이다.


다산이 23세 되던 1784년, 정조가 『중용』의 내용을 바탕으로 질의한 70조에

 대해 광암(曠菴) 이벽과 상의해 답한 내용을 담은 책이 『중용강의』인데,
 이를 강진 유배 시절인 1814년에 보완해 『중용강의보』를 완성했다.
 천주교 교리에 자극을 받아 『중용』을 새롭게 해석한 경전 해설서『중용강의는」
 정약용 사상의 원류라 할 수 있다.
 
다산초당 시절-다산 사상의 탄생지
탐관오리를 응징하는 암행어사로, 지방 수령으로 재직하던 다산은 1801년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박해에 연루돼 유배를 가게 된다. 전라남도 강진에서 보낸 18년의
 귀양생활 중 1808년부터 1818년까지 10여 년을 만덕산 기슭에 있는 다산초당에서
 보냈다. 다산의 대표 저작 대부분이 이곳에서 완성됐다.
 그러나 다산은 학문활동에 전념하는 틈틈이 자연 속에서 차를 끓이는 등 낭만을
 즐기기도 했다.

 ‘다산초당도(茶山草堂圖)’ 초의(草衣·1786?~1866), 1812년, 개인 소장

 유배 시절의 다산과 활발하게 교류했던 초의선사(草衣禪師)가 1812년 다산초당을

방문하고 그린 그림이다. 흙으로 쌓아 올린 담 안에 연못 2개와 초가,
 정원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다산은 다산초당을 직접 설계했을 정도로 이곳에 애정이 깊었다.
 그림 왼쪽 초가가 초당, 오른쪽이 다산이 수천 권의 책을 쌓아놓고 집필에 몰두한
 동암(東菴)이다.

‘다산사경첩(茶山四景帖)’(보물 제1683호), 1809년, 개인 소장

 ‘다산사경첩’은 다조, 약천(藥泉), 정석(丁石), 연지(蓮池) 등 다산초당 주변의

 수려한 경관을 묘사한 시들로 구성돼 있다.
 다조, 즉 차를 달이는 부뚜막은 초당 앞에 있는 바위를 일컫고, 약천은 돌우물,
정석은 초당 근처의 돌, 연지는 연못이다.
 차에 대한 다산의 생각이 담긴 ‘다산사경첩’은 남도 강진의 차(茶)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정약용 산문집의 요점을 정리해 본 것이다.

다산 정약용 생가
다산초당은 정약용이 18년의 유배생활 중 
10여 년을 보냈던 곳이며,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500여 권을 저술한 곳이기도한데, 
다산이 강진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중 외동딸이 시집을 간다는 소식을 듣고 부인
홍씨가 준 헌 치마를 찢어 딸에게 주는 선물로 그림을 그리고 시를 적어 보낸
 내용인 즉슨 

향기 만발하는 매화나무에 앉은 한 쌍의 새에게 둥지를 틀라고 권하는 구절에 시집가는 딸의 행복을 비는 아버지의 애틋함이 얽혀있는 분홍과 흰색으로 새의 부리와 꽃송이를 선명하게 담아낸 사실적인 화풍의 그림,

매조도(梅鳥圖보물1683호)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4언 詩 를 올려본다.


편편비조(翩翩飛鳥) 파르르 새가 날아  / 식아정매(息我庭梅) 뜰 앞 매화에 앉네 


유열기방(有列其芳) 매화 향기 진하여  / 혜연기래(惠然其來) 홀연히 찾아 왔네 


원지원서(爰止爰棲) 여기에 둥지 틀어  / 악이가실(樂爾家室) 너의 집을 삼으렴 


화지기영(華之旣榮) 만발한 꽃인지라  / 유분기실(有賁其實) 먹을 것도 많단다.


다산 묘소

숙부인 묘소
강진 유배가 끝난 후 다산은 자신의 고향인 양수리로 돌아가 18년을 살다 죽음을
 맞는다. 이 기간 동안 다산은 강진 유배 시절의 학문적 성취를 되돌아보고 이를
 총정리한다. 고향으로 돌아온 다산은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고 제자들을 키웠으며,
 자주 열수(洌水·한강)에서 풍취를 즐겼다.

 ‘열상산수도(冽上山水圖)’, 개인 소장

 다산은 양수리에서 완성한 일부 작품에 ‘열초(洌樵)’라는 필명을 쓴다.
 이 그림에서는 고향의 열수에서 산수를 유람하며 세상을 관조하는 다산의
 여유가 읽힌다.
 극도로 절제된 붓 놀림으로 연하게 채색했다.
다산의 말년 학문 친구였던 홍현주의 소장품임을 밝히는 도장이 찍혀 있다.

소소운목파잔안(騷騷雲木擺孱顔) 사각사각 구름 낀 숲에 높은 산 리니

의유천풍도차간(疑有天風到此間) 아마도 바람이 불어 이곳으로 이르게 했겠지
초안소정수작자(草岸小亭誰作者) 풀 언덕 작은 정자 누가 지었나
폭천성출대두산(瀑泉聲出對頭山) 폭포샘 소리가 두산에서 들려오네

‘열상시축(洌上詩軸)’, 1824년, 개인 소장

 총 길이 20m에 이르는 긴 두루마리 작품 중 일부다. 다산이 고향에 돌아와 6년째

 될 즈음, 고향 친구들과 형제 등 19명이 열수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총 48수의 시를
 릴레이로 지었다. 서문에서 다산은 “갑신년(1824, 순조24년) 9월 13일에 내가
 열상(洌上)에서부터 배를 타고 청탄(靑灘)에 이르러 잤는데,
 다음 날 현계(玄谿), 승직(承直) 등과 사천사(斜川寺)에서 놀았다.
 
 대탄(大灘)과 묘곡(妙谷) 등 여러 벗과 이윤오(李潤五) 형제들도 이르러 절에서
 잔 사람은 열아홉 사람이었다. 흩어지고 모임이 일정하지 않음과 깃들고 그침에
자취가 없음을 생각하니 감개(感慨)스러웠다.
 따라서 시를 지어 기록하고 나이에 따라 차례를 짓고 그 이름을 적어 뒷날
 고증하도록 하였다”라고 적었다.

‘여러 제자들에게 준 글(위다산제생증언·爲茶山諸生贈言)’, 1823년, 개인 소장

다산은 강진에서 18학사로 불리는 제자 집단을 키웠다. 다산이 고향으로 돌아온 후

 강진에 있는 제자들이 스승을 찾아왔다.
 다산은 그들에게 “올해 (다산초당의) 동암(東菴)에 이엉(짚으로 만든 지붕)은
 이었는가?” “우물가에 돌들은 무너지지 않았는가?”라며 질문을 던진다.
 당시의 대화를 적은 글. 다산의 세심하고 꼼꼼한 성품을 엿볼 수 있다.


다산 문화관
.
이생강=대금연주-팔도 아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