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463)

목탁

by 석암 조헌섭. 2021. 8. 14.
[木鐸]

공자[孔子]가 노나라를 떠나 14년 동안 천하를 돌아 다닐 때 어느 날 위나라의 조그마한
빈경을 지나고 있었다.
이때 변경을 지키는 수비대장이 공자가 지나간다는 소식을 접하고 만나기를 원하였다.

공자가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눈 수비대장 [守備大將]은 밖으로 나와 공자의 수행원들에게
“그대들은 어찌하여 선생께서 관직[官職]을 얻지 못함을 걱정하는가?
“세상에 도가 없어진 지 오래 되었으니 하늘은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으실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논어[論語] 팔일편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불교가 전래되기 수천 년 전부터 목탁[木鐸]을 사용 하였다.
목탁은 방울 모양을 하고 있으며 옛날 통치자들이 정부의 명령이나 법률[法律] 등을
전달할 때 관원[官員]은 백성들에게 알리는데 사용하였다.

방울은 신과 접하는 일종의 무구다.
무령[巫鈴]이라 해서 그 소리는 악귀를 쫓고 신령[神靈]을 부르는 것으로 여겼다.
점을 칠 때 사용하며 군웅 방울, 칠성 방울, 대신 방울, 상쇠 방울이 있는데 그 쓰임이
다르다고 한다.

그 중에서 7개의 금속제 방울이 긴 막대기 끝에 둥근 테를 묶은 형태의 칠성 방울이
가장 많다.
옛날 영화나 만화에 자주 등장 [登場]하는 흰 수염의 도사가 짚고 있는 도사 지팡이와 같다.

방울의 모양새는 몸통 한쪽 부분이 약간 입을 벌리고 있어 마치 물고기가 입을 벌리고
있는 것처럼 모양새가 목탁과 다를 바가 없다. 방울 소리는 신의 행동과 말이 음[音]화 된
것이고 무당은 방울 소리를 내어 신을 부르고 교신[交信]한다.

환단고기에 나오는 환인[桓因]은 아들에게 신령스런 힘이 있는 “거울, 칼, 방울” 이렇게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었는데 이 천부인 세 가지 중에 방울이 들어 있었다.
고대 왕들의 무덤 속 부장품[副葬品] 중에
이 방울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 백성들을 다스리는 왕으로서 하늘의 신과 접신하는 절대적 권력[權力]을 상징하며
재천행사 때 방울을 흔들어
하늘의 뜻으로 백성을 잘살게 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는 것이다.
이는 하늘의 소리를 전하는 것으로 바로 민[民]의 소리를 의미[意味]의한다.


백성[百姓]이 하늘이고 하늘의 소리가 바로 백성이란 뜻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물질만능주의[物質萬能主義]가 팽배한 작금의 사회는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최소한의
양심의 기본 도리[道理]가 없어진 지 오래다.
아귀다툼으로 비쳐지는 이전투구[泥田鬪狗]의 수렁속이다.

위나라 변경 장수가 말한 세상에 도[道]가 없어진 지 오래다.
도를 세우고 사회정화[社會淨化]를 이끌러줄 사회목탁이 필요하다.

천하지무도 야구의[天下之無道 也久矣]--세상에 도가 없어진지 오래다.
천장이부작 위목탁[天將以夫子 爲木鐸]--하늘은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을 것이다.
그때는 하늘이 공자를 목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지금은 지팡이 방울을 올려 신의 소리를 알려줄 신탁 [信託]의 대행자가 없다.
지팡이 방울을 올려
도를 세우고 사회정화를 이끌어줄 사회 목탁과 방울 소리를 알려줄
대행자[代行者]가 절실하다.


오도사문[吾道斯文]의 길!
사람의 도리[道理]와 문화 [文化]를 지켜 미래로 나아가는 정신[精神]이 필요하다.

맹자 혜왕편에 맹자대왈[子對曰]
왕[王]은 하필왈이[何必曰利]잇고 적유인의이기의[亦有仁義而已矣]라.
왕이 말했다. "어르신께서 천 리를 멀다고 하지 않으시고 오시니 이 나라에 이로움을
주시겠지요. 하고 여쭈었는데,

맹자[孟子]가 대답하였다. "왕께서는 하필 이로움[利]을 말씀하십니까?

오직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
임금이 어떻게 내 나라를 이롭게 할까 하면 대신 [大臣]들은 내 집을 이롭게 할까 할 것이고
선비와 백성은 나 자신을 이롭게 할 것입니다.

맹자 혜왕편에 이 나라 사람들이 제각기 이익만 추구 [追求]하면 국가가 존망의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의 조선왕조가 제각기 이[利]를 추구하다 멸망 [滅亡]하였다는
견해도 있듯,
작은 이득[利得]을 보려다간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고 하였다.

조선왕조까지의 군왕의 시대는 말할 것도 없이 지금 민주주의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덕본재말[德本財末] 덕이 근본이 아니라 재본덕말[財本德末] 재물이 근본인 정치를 하여
국가 보조금은 눈먼 돈이라 물질 숭배가 극단 [極端]에 이르지 않는가 생각해본다.


추석[秋夕]이 코앞인데 코로나 변이로 늘어만 가 갇혀 살아야 하니 감옥[監獄]이 따로 없다.
나야뭐 애주가다 보니 술로 나날을 보내면 되지만, 내자[內子]는서울에 살고 있는아들 며느리
손녀도 못 만나니 못내 아쉬워 하는것을 보니 코로나가 가족의 연[緣]까지끊어 놓으려나보다.

술은 인류의 역사 [歷史]
함께해 왔으며,
신석기 시대의 주술사가 영혼[靈魂]의 세계와 소통하려고 술을 마셨고,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술은 입속을 경쾌[輕快]하게 하고, 마음속을 다시 터놓게 하며,
술은 하나의 도덕적 성질 즉, 마음의 솔직함을 운반하는 물질이라"고 하였다.

소크라테스는 작가 이가톤과 아리스토파네스 등과 어울려 술을 즐기며 학문[學問]과
사상 [思想]의 차원을 높여 나갔으나 결국 고발되어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독배 [毒杯]를 받아 다 마시고는 마지막 한 마디 그가 남긴 말은 "잔 비었네!"라는
말을 했다니 소크라테스는 가히 주당[酒黨]이라 할 수 있겠다.

소크라테스는 거리의 사람들과 철학적[哲學的] 대화를 나누는 것을 일과로 삼으며,
"너 자신을 알라", "배부른 돼지보다는 고뇌[苦惱]하는 인간이 되겠다"며,
"벗은 나에게 충고[忠告]를 해주고 적은 나에게 경계하게 해준다."는 명언을 남겼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복잡한 구조적[構造的] 문제를 안고 있는 듯하다.
그중에서 특히 정치 분야는 붕당정치[朋黨政治]에 해당할 패거리 형태를 보이며,
자기편이 아니면 정책이고 이론이고 무시하고 당동벌이[黨同伐異] 형태를 보이며 반대
의견을 개진하면 좌파, 우파 몰아붙이는 이념적 파당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


중국 노나라 계강자라는 사람이 공자에게 “정치란 무엇입니까?”라고. 여쭈어보니.
군자는 군군, 신신, 부부, 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라며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며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고,
아비는 아비다워야 하며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라고 하였다.

임금은 임금답게 덕[德]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고위 공직자는 청렴결백[淸廉潔白]하고
사회 모범이
되어야 한다.
부모는 부모다워야 하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살 맛나는 세상[世上]이 되지 않겠는가?
“사람이면 다 사람인가? 사람다워야 사람이지“? 이 말은 숱하게 들어 왔다.
우리 사회[社會]가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었으면 좋겠다.

2021년 8월 일
석암 조 헌 섭

 

 

'나의 이야기(46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시 머물다 가는 인생  (0) 2021.09.06
도문대작[屠門大嚼]  (0) 2021.08.25
심신[心身]의 씨앗  (0) 2021.07.23
무 척[無隻]  (0) 2021.07.14
삶의 지혜[智慧]  (0) 2021.06.27